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기준 중위소득 50% 80% 100% 120% 150% 180%까지

by 바른살림연구 2025. 10. 22.

2025년 기준 중위소득 계산 방법부터 1인 가구, 4인 가구 등 가구별 중위소득 50%, 80%, 100%, 120%, 150% 그리고 180% 기준까지  최근 고금리·고물가로 인해 가계 경제의 어려움이 심화되면서, 정부의 다양한 지원 정책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뜨겁습니다. 특히, 기초생활보장제도부터 수많은 복지 사업의 수혜자격을 결정하는 '기준 중위소득'의 정확한 의미와 기준을 아는 것이 중요해졌습니다. 나에게 해당되는 지원금의 자격 조건을 정확히 확인하고, 정부 지원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실질적인 정보를 얻어가시길 바랍니다. 지금 바로 2025년 최신 기준을 확인하고 복지 혜택을 신청하세요!

1. 기준 중위소득이란? 

기준 중위소득은 보건복지부 장관이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고시하는 국민 가구 소득의 중간값입니다. 대한민국 모든 가구의 소득을 오름차순으로 배열했을 때, 정확히 중앙에 위치하는 가구의 소득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100가구 중 50번째 가구의 소득이 중위소득이 되는 것입니다.

이 기준 중위소득은 2025년 현재 기초생활보장 제도를 포함해 14개 부처, 80여 개에 달하는 정부 지원 사업의 수혜 대상자를 선정하는 핵심 기준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지원금액이나 복지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중위소득의 50%, 80%, 100%, 120%, 150% 등의 비율이 적용되기 때문에, 자신의 가구 소득이 이 기준의 몇 퍼센트에 해당하는지 아는 것이 정부 지원 혜택을 놓치지 않는 첫걸음입니다.

중위소득150중윙소득180중윙소득80

2. 2025년 기준 중위소득 계산 방법 

기준 중위소득 계산 방법은 통계청이 공표하는 가구 경상소득(근로·사업·재산·이전소득 합산)의 중간값에 최근 가구소득 평균 증가율, 가구 규모별 소득 수준 차이 등을 반영하여 산정합니다. 

  • 기본증가율: 최근 3년 가계금융복지조사 중위소득 증가율 평균
  • 추가증가율: 기준 중위소득과 가계금융복지조사 간의 격차 해소를 위해 6년간 한시적으로 적용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은 4인 가구 기준 전년 대비 6.42%가 인상되었으며, 향후 2026년에는 6.51%로 역대 최대로 인상될 예정 입니다. 이는 1인 가구 기준 2025년 2,392,013원에서 2026년 2,564,238원으로 인상되는 수준이며, 제도의 지속적인 개선을 통해 약 71,000명이 새롭게 생계급여를 수급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중위소득50중위소득100중위소득120

3. 2025년 가구별 기준 중위소득 

2025년 적용되는 가구별 중위소득 비율별 기준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 기준표를 통해 나의 가구 소득 수준을 확인하고, 신청 가능한 정부 지원 복지 정책을 가늠해 볼 수 있습니다. (단위: 원)

구분1인 가구2인 가구3인 가구4인 가구5인 가구6인 가구

중위소득 50% 1,196,007 1,966,329 2,512,677 3,048,887 3,554,096 4,032,403
중위소득 80% 1,913,610 3,146,126 4,020,282 4,878,218 5,686,554 6,451,844
중위소득 100% 2,392,013 3,932,658 5,025,353 6,097,773 7,108,192 8,064,805
중위소득 120% 2,870,416 4,719,190 6,030,424 7,317,328 8,529,830 9,677,766
중위소득 150% 3,588,020 5,898,987 7,538,030 9,146,660 10,662,288 12,097,208
중위소득 180% 4,305,623 7,078,784 9,045,636 10,975,991 12,794,746 14,516,650
  • 중위소득 50%: 생계급여 선정 기준으로 주로 활용됩니다.
  • 중위소득 80%: 주거·교육급여 및 일부 사회복지시설 이용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 중위소득 100% 이상: 국가장학금, 청년월세 특별지원, 일부 바우처 사업 등 다양한 정책의 소득 기준으로 사용됩니다.

2025기준중위소득2025기준중위소득금액2025기준중위소득금액가구별

4. 정부 지원금 신청 방법 

대부분의 정부 지원금은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온라인 신청: 복지로(www.bokjiro.go.kr), 정부24(www.gov.kr) 또는 해당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오프라인 신청: 주소지 관할 읍/면/동 행정복지센터(구 동사무소)에 방문하여 신청합니다.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의 정확한 정의와 계산 방법, 그리고 가구 규모별 50%, 80%, 100%, 120%, 150%, 180% 기준표를 상세히 살펴보았습니다. 기준 중위소득은 더 이상 단순한 통계 수치가 아니라, 기초생활보장제도부터 수많은 정부 지원 정책의 수혜 여부를 결정하는 가장 핵심적인 기준입니다. 정부는 복지 사각지대를 줄이고자 매년 기준을 인상하고 제도를 개선하고 있습니다.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이 역대 최고 수준으로 인상된 만큼, 더 많은 국민이 혜택을 받을 기회가 확대되었습니다. 본 글을 통해 나의 가구 소득이 어느 기준에 해당하는지 정확히 파악하고, 놓치고 있던 정부 지원 혜택이 없는지 다시 한번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지금 바로 복지로 또는 정부24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나에게 해당되는 복지 서비스를 검색하고 적극적으로 신청하세요!

2025기준중위소득정부242025기준중위소득신청2025기준중위소득복지로